협치(協治, governance)란?
협(協,화합할 협) 치(治 다스릴 치) : 힘을 합해서 사회 문제를 해결함
- 서울특별시 관악구 민관협치 활성화를 위한 기본 조례 제2조
- “민관협치”란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민간과 서울특별시 관악구가 공동으로 정책을 결정하고 집행·평가하는 구정 운영 방식 및 체계
협치관악 BI 및 행정 슬로건
- 협치관악 BI(Brand Identity)
- 키워드 : 하이파이브, 울타리, 행복
- 의미 : 한 울타리 안의 관악구와 구민이 민관협치를 통해 사랑의 싹을 틔움
- 협치관악 행정 슬로건
- 슬로건1 : 협치행정! 가치 있는 일을 같이 하는 행정문화!
- 슬로건2 : 민관협치! 주민과 행정이 함께 협력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정책과정!
협치관악 비전과 목표 (2020~2022)
추진 체계도
관악구 협치회의
- 역할 : 민관협치 체계의 구축 및 활성화 등에 관한 사항 심의/의결
- 구성 : 40명 이내(현재 39명)
- 당연직 : 10명 (구청장(공동의장), 각 국/소/단장 8명, 협치조정관)
- 위촉직 : 30명 (구의원 2명, 구청장 추천 및 공개모집 28명)
- 임기 : 위촉일로부터 2년간 (1회 연장 가능)
- 회의 : 정례회의 연 4회 이상
운영위원회
- 역할 : 협치회의 운영방법 등 운영 총괄, 협치 조례 제도 조성 및 협치 역량강화에 관한 사항 등
- 구성 : 민간 공동의장, 주민참여예산위원장, 분과장, 부분과장, 미래성장추진단장, 협치조정관
분과위원회
- 역할 : 각 분과별 협치의제 발굴 및 관리
- 구성 : 민간 공동의장을 제외한 위촉직 협치위원 (행정경제분과 8명, 복지보건분과 7명, 도시건설분과 6명, 청년문화분과 7명)
협치실행추진반(워킹그룹)
- 역할 : 협치과제 실행을 위한 민관 합동 실행그룹
- 구성 : 민+관+협치위원(선택)+전문가(선택)
협치추진단
- 역할
- 협치관련 사업 주요 분야별 실행력 강화를 위한 행정지원
- 다양한 단위(구-동)에서 진행되는 협치행정에 대한 상호연계 도모
- 협치 활성화를 위한 제도 및 정책 등 협치 현안을 진단 및 권고
- 구성 : 16명
- 단장 : 협치조정관
- 민간 : 협치관련 6개 위원회 위원(협치회의, 주민참여예산위원회, 주민자치회, 혁신협치위원회, 지역사회보장협의체, 관악교육두레 실무추진단 각1~2명)
- 행정 : 민관협치과장, 지역협치팀장, 관련위원회 담당 팀장(기획팀장, 자치지원팀장, 혁신교육팀장, 복지기획팀장),
혁신정책연구단 선임연구원
지역사회혁신계획 소개
- 지역사회혁신계획은
- 지역사회문제 해결과 지역의 협치기반 조성을 목표로 하는 전략계획으로
- 「계획수립-실행-평가-환류」의 모든 과정을 민과 관이 함께 운영하며, ‘관악구 협치회의’에서 최종 협의/결정한 계획
- 서울시 시민참여예산 구단위계획형으로 편성되어, 서울시 참여예산 총회를 통해 최종 승인