구분 | 사업명 | 연령(세) | 지원대상 | 지원내용 | 신청방법 | 부서명 | 문의 | ||||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0 | 1 | 2 | 3 | 4 | 5 | 6 | 7 | 8 | ||||||||
물품 및 수당 지원 |
관악구 |
관악구 거주 및 출생 신고한 영아 가정 |
2만 원 상당 유아용품 지급 | 동주민센터 | 여성가족과 | 879-6133 | ||||||||||
서울형 산후조리 경비 |
서울시 거주 및 출생 신고한 산모 |
출생아 1인당 100만 원 바우처 지급 |
‘서울맘케어’ 홈페이지 (동주민센터) |
지역보건과 | 879-7155 | |||||||||||
첫만남이용권 | 출생 신고되어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은 아동 | 첫째아: 200만 원, 둘째아 이상: 300만 원 바우처 지급 | ‘복지로’ 홈페이지 (동주민센터) |
여성가족과 | 879-6133 | |||||||||||
부모 급여 |
현금 | 2세 미만의 아동 (0~23개월, 2세 생일도래 전달까지) |
월 100만 원(0세), 월 50만 원(1세) 현금 지급 | ‘복지로’ 홈페이지 (동주민센터) |
여성가족과 | 879-6135 | ||||||||||
보육료 | 0세: 보육료 바우처(54만 원)+차액 현금 (46만 원) 1세: 바우처(47.5만 원)+차액 현금(2.5만 원) 지급 |
|||||||||||||||
종일제 아이돌봄 | 종일제 아이돌봄 바우처 지급 | |||||||||||||||
관악구 깡충깡충 성장양육지원금 | 관악구 거주 2~4세 영유아 양육 가정 |
연 1회 30만 원 관악사랑상품권 지급 | ‘정부24’ 홈페이지 (동주민센터) |
여성가족과 | 879-6133 | |||||||||||
가정양육수당 | 가정 양육(시설 미이용)하는 24~86개월 미만 미취학 아동 가정 | 월 10만 원 현금 지급 (*24~35개월 장애아 20만 원 지급) |
‘복지로’ 홈페이지 (동주민센터) |
여성가족과 | 879-6132 | |||||||||||
아동수당 | 8세 미만 모든 아동 (0~95개월까지) |
월 10만 원 현금 지급 | ‘복지로’ 홈페이지 (동주민센터) |
여성가족과 | 879-6132 | |||||||||||
아이돌봄 및 가사서비스 지원 | 아이돌봄서비스 지원 |
3개월~12세 이하 자녀가 있는 기준 중위소득 200% 이하인 양육공백 발생 가정 |
시간당 12,180원 서비스 제공 (소득기준 등에 따라 이용료 10~90% 차등 지원) |
‘복지로’ 홈페이지 (동주민센터) |
여성가족과 | 879-6134 | ||||||||||
서울형 아이돌봄비 지원 | 서울거주 부모 및 아동 (24~36개월)의 기준 중위소득 150% 이하 양육공백 발생 가정 | 1인 월 30만 원, 2인 월 45만 원, 3인 월 60만 원 현금 지급 |
‘몽땅정보만능키’ 홈페이지 (방문신청불가) |
여성가족과 | 879-6134 | |||||||||||
서울형 가사서비스 지원 | 서울거주 12세 이하 자녀가 있는 기준 중위소득 180% 이하 임산부·맞벌이·다자녀 가정 |
연 70만 원 바우처 지급 (예산 소진으로 하반기 사업 재개 예정) |
‘서울맘케어’ 홈페이지 (방문신청불가) |
여성가족과 | 879-6134 | |||||||||||
이동 수단 지원 | 서울 임산부 교통비 지원 | 서울 거주 임신부 및 출산 후 3개월 이하인 여성 |
교통비 70만 원 바우처 지급 | ‘서울맘케어’ 홈페이지 (동주민센터) |
여성가족과 | 879-6133 | ||||||||||
서울엄마아빠 택시 지원 | 서울 거주 24개월 이하 영아 양육가정 |
연 10만 원 택시 이용 포인트 지급 (*영아 미동반 시 사용불가) |
‘몽땅정보만능키’ 홈페이지 (동주민센터) |
여성가족과 | 879-6135 | |||||||||||
사회적 배려대상 등 지원 | 한부모 가족 아동양육비 지원 | 18세(고3재학시 12월까지) 미만의 자녀가 있는 기준 중위소득 63% 이하 한부모 자녀 가정 | 월 23만 원 현금 지급 (미혼모·부/조손 가족 5세 이하, 청년 자녀 월 5~10만 원 추가 지급) |
동주민센터 | 여성가족과 | 879-6132 | ||||||||||
청소년 한부모 아동양육비 지원 | 기준 중위소득 65% 이하 청소년(24세 이하) 부모 자녀 가정 |
월 37만 원 현금 지급 (*자녀가 1세 이하면 40만 원 지급) |
동주민센터 | 여성가족과 | 879-6132 | |||||||||||
청소년 부모 아동양육비 지원 | 기준 중위소득 63% 이하 청소년(24세 이하) 부모 자녀 가정 |
월 25만 원 현금 지급 | 동주민센터 | 여성가족과 | 879-6132 | |||||||||||
서울형 청소년 (한)부모 아동 양육비 지원 |
서울 거주 기준 중위소득 90% 이하 청소년(24세 이하) (한)부모 자녀 가정 | 월 20만 원 현금 지급 | 동주민센터 | 여성가족과 | 879-6132 | |||||||||||
장애인 출산비용 지원 |
‘25년 이후 출산한 여성 장애인 또는 남성 장애인의 배우자 | 태아 1인 120만 원 현금 지급 | 동주민센터 | 장애인복지과 | 879-6021 | |||||||||||
장애인 양육지원금 지원 | ‘22년 이후 출산한 여성 장애인 또는 남성 장애인의 배우자 | 매월 10만 원 현금 지급 | 동주민센터 | 장애인복지과 | 879-6021 | |||||||||||
영유아 발달 지원 서비스 | 기준 중위소득 140% 이하 발달 지연 우려가 있는 0~6세 영유아 | 12개월간 16만 원 바우처 지급 (*차상위계층, 기초생활수급자 18만 원) |
동주민센터 | 여성가족과 | 879-6134 | |||||||||||
서울시 1인 자영업자 등 출산가구 지원 | '24.4.22.이후 출산 및 서울시 출생신고한 1인 자영업자 등 임산부 및 배우자 |
임산부 출산급여 90만 원, 배우자 출산휴가급여 80만 원 지급 | ‘몽땅정보만능키’ 홈페이지 (방문신청불가) |
여성가족과 | 879-6133 |
*자세한 사항은 관악구 홈페이지(분야별 정보-복지) 참고